본문 바로가기
글쓰기

가독성 높은 글을 쓰려면

by 달탄향 2023. 7. 14.

가독성 높은 글

가독성 높은 글을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가독성의 사전적 정의는 인쇄물이 얼마나 쉽게 읽히는가 하는 능률의 정도이다. 활자체, 글자 간격, 행간, 띄어쓰기 따위에 따라 달라진다고 정의되어 있는데 일상에서는 이보다 더 넓은 범위로 쓰인다. 인쇄물이나 활자뿐 아니라 문장과 문단을 넘어 글 전체의 내용이 얼마나 독자에게 잘 읽히는가 하는 정도도 가독성이라고 한다. 즉 일반적으로 우리가 말하는 '가독성 높은 글'이란 독자가 쉽게 이해하고 읽을 수 있는 글이라고 할 수 있다.

 

신문 보는 남자
신문은 가독성이 필요하다.

가독성 높은 글의 특징

그렇다면 가독성 높은 글의 특징들은 무엇일까? 먼저 가독성 높은 글은 명확하고 간결한 문장들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글의 구조가 명확하여 독자가 각 단락마다 나타나 있는 내용을 파악하기 쉽다. 일관된 주제와 문체를 지니고 있으며 일상적인 어휘와 쉬운 단어를 사용한 글이다. 

 

글의 가독성 높이는 방법

1. 독자 고려하기 : 글을 쓸 때 독자의 지식수준과 흥미, 그들의 배경을 파악해야 한다. 글을 읽을 독자가 누구인지 이해하고 그들의 지식과 전문성에 맞게 글을 쓴다. 지나치게 어려운 단어나 전문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피하고 글을 읽을 주된 독자들이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단어와 용어를 사용한다. 

 

2. 간결하게 표현하기 : 간단하고 간결하게 글을 쓴다. 불필요한 세부사항은 빼고 문장을 되도록 짧고 명료하게 쓴다. 지나치게 길고 복잡한 문장은 여러 문장으로 나누어 단순하게 표현한다.

 

3. 단락 나누기 : 긴 문단으로 작성하는 것을 피한다. 주제에 따라 문단을 나눠어 구조화한다. 이렇게 하면 읽는 사람들이 내용을 좀 더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단락을 나누어 쓰려면 글을 쓰기 시작하기 전에 간략하게라도 개요를 짜보는 것이 좋다.

 

4. 쉬운 단어 : 어휘 선택에도 신경을 써야한다. 복잡한 말이나 용어를 사용하지 않거나 꼭 사용해야 한다면 알기 쉽게 충분하게 풀어서 설명한다. 단어는 독자가 이해하기 쉽고 간단한 일상적인 어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5. 시각적 요소 : 내용과 관련된 그림, 그래프, 목차, 글머리 기호를 사용하는 것은 글을 보충하고 가독성과 시각적인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목과 소제목, 본문, 인용을 나타낼 때는 글자 크기를 다르게 한다. 단조로운 하나의 폰트보다는 두 가지 이상의 폰트를 목적에 따라 일관성 있게 사용한다. 그러나 너무 많은 폰트의 종류를 사용하는 것은 글이 시각적으로 지저분해 보이고 읽는 사람에게 혼란을 줄 수 있으니 지양해야 한다.

 

6. 소리 내어 읽어보기 : 다 쓴 글을 소리내어 읽어보면 어색한 구절, 호흡이 지나치게 긴 문장을 발견할 수 있다. 소리 내어 읽었을 때 자연스럽게 들리지 않으면 다른 표현으로 수정해야 한다.

 

7. 피드백 받기 : 글을 작성한 후 다른 사람들이 읽어보게 한 후 피드백을 받는다. 자신이 쓴 글을 자신이 읽을 때는 글이 어렵지 않게 잘 읽히기 마련이다. 그래서 글의 문제를 찾아내기 쉽지 않다. 그러나 입장이 바뀌면 전혀 다르다. 따라서 주변에 가까운 몇몇 실제 독자에게 미리 글을 읽힌 후 의견을 듣는다. 수정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은 반영하여 더 읽히 쉽고 편한 글로 바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