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4 온라인 세상에서 눈에 띄는 글쓰기 1편. 터지는 글에는 3가지 법칙이 있다, 박창선 대표 유튜브 영상이나 틱톡, 인스타그램 등 다양하고 재미있는 포맷들이 넘쳐나고 있다. 그래서 온라인상에서 글을 쓴다는 것에 부담이 더해진 것이 사실이다. 이 글에서는 어떻게 하면 글을 더 맛깔나게 쓰고 소비자들에게 좀 더 어필할 수 있는 글을 쓸 수 있는지 박창선 대표가 제시하는 몇 가지 포인트를 함께 짚어볼 것이다. 첫째, 목소리가 들리는 것 같은 글사람이 말하는 듯이 아주 자연스럽게 흘러가는 문체를 흔히 구어체라고 한다. 그런데 요즘에는 이런 구어체를 넘어서서 글을 쓰는 사람이 옆에서 직접 말하고 있는 듯한 생생한 콘텐츠를 '육성 지원 된다'라고 표현한다. 디지털 글쓰기를 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중요한 단어이다. 여기서 디지털 글쓰기란 웹이나 앱상에서 보이는 모든 텍스트 콘텐츠를 의미한다. 보도자료, 기고문.. 2023. 10. 3. [책 리뷰] 서평쓰기의 모든 것 (김나정, 2020) 김나정의 은 서평의 개념과 서평을 작성하기 위해 책을 읽는 방법, 책을 읽은 후 서평 쓰는 방법, 서평 작성에 관한 팁, 기술, 예시들을 다루고 있는 책이다. 출판사 '지식의 날개'에서 펴내는 교양문고 '아로리총서' 의 소통과 글쓰기 편 중 한 권이다. 크기는 가로 세로 153x224(mm)로 한 손안에 잡히고, 160 페이지 남짓한 두께로, 얇아서 읽기에도 부담 없는 사이즈다. 하지만 얇다고 만만하게 볼 책은 아니다. 체계적인 틀 속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은 요목조목 놓치지 않고 다루고 있어서 오히려 내용이 많다고 느껴질 수도 있다. 서평이 주는 일곱 가지 선물이 책에서는 서평 쓰기의 유익함을 일곱 가지 선물에 빗대어 설명한다. 서평 쓰기는 정보를 지식으로 만들어주며, 기록으로 기억을 탄탄하게 보존시켜 .. 2023. 9. 16. 강원국의 말하듯이 글쓰기 #02 글은 쓰고 싶은데 무엇을 쓰지? 강원국의 말하듯이 글쓰기 #02 2강 글은 쓰고 싶은데 무엇을 쓰지? 글을 쓰는데 소재를 찾는 게 어렵다고 하소연하는 사람들에게 강원국 작가 역시 소재 찾기의 어려움에 대해 공감한다. 글감과 소재, 기삿거리를 찾는 것은 어렵지만 이것을 찾기만 하면 글쓰기의 절반은 다 한 셈이라고 한다. 노무현 전 대통령도 연설문, 기고문 쓸 때 늘 그에게 한 제일 첫마디가 "야 무슨 얘기할까"였다. 그러다가 할 얘기를 찾으면 너무 좋아했다고 회고한다. 무엇을 쓸 것인가? 즉 소재를 찾는 일은 중요하다. 첫째, 사람에게서 찾는다. 우선 첫 번째는 사람에게서 소재를 찾는 것이다. 사람 중에서도 먼저 나에게서 찾는 것이다. 나의 경험, 나의 이야기를 쓰는 것이다. 나의 이야기는 3단계로 쓰시면 된다. 자기에게 있었던 일화, .. 2023. 9. 3. 성찰하는 글 쓰기 성찰하는 글 쓰기의 중요성 우리는 살면서 여러 가지 체험을 하고 그와 관련된 생각과 느낌을 갖게 된다. 그러한 체험을 통해 예전에는 몰랐던 깨달음을 얻기도 한다. 그러나 이것을 기록하지 않고 그냥 지나쳐 버린다면 그 체험과 깨달음은 얼마 지나지 않아 사라져 버리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의미 있는 체험과 그에 따른 깨달음을 기록하여 오래 간직할 필요가 있다. 또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글을 쓰는 과정에서 필자는 자기와 자신의 삶에 대해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성찰하는 글의 유형 성찰하는 글은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는 내용을 담은 글이다. 자기를 성찰하는 글에는 일기, 자서전, 회고문 등이 있다.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글은 자기표현 요소가 강하다.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글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2023. 8. 26. 이전 1 2 3 4 다음